문제아 세계관에서 한 사람의 영격과 운명은 기본적으로 이름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하기에, 주역 6인조의 이름을 자세히 분석해 보았다. 본문에 사용된 해석은 일본 작명 사이트들을 둘러보며 찾았다.
인물마다 맨 끝 문항에 개인적인 추측을 달았는데, 무리수도 섞여 있지만 가끔 린≒앨리스처럼 나노단위 떡밥이 투척될 때도 있어서 무시할 수는 없을 듯.
1. 사카마키 이자요이(逆廻 十六夜)
성의 유래
유래는 물론 이름으로 사용하는 경우조차 없는 작중 오리지널이다. 기존 성인 사이고(西郷)는 호무라 참고.
이름 해설
중세 시대 미나모토 씨족이나 사무라이들 사이에서 이름으로 가끔씩 쓰였다. 현재는 시대상 맞지 않는 이름이거나, 어원처럼 지연된다는 뜻을 포함하고 있어 작명 시 추천하지 않는다.
이름의 어원
이자요이(十六夜)는 보름 다음날 달이 평소에 비해 약 50분 가량 늦게 뜨는 것을 옛 사람들이 '나오기를 꺼리는 모습'에 빗대며, 마음이 흔들려 주저하다(猶予う[이자요우]) + 밤(夜[요이]) 의 두 단어를 결합해 만든 일종의 합성어이다. 다른 표기로 不知夜가 있다.
이름이 갖는 의미 (이름으로 사용되는 사례가 극히 드물어 어원인 猶予う가 가지는 뜻으로 대체합니다.)
- 희망은 이미 지나가 버렸다
- 무상함, 주저함, 뒤쳐짐, 일이 늦게 진행됨
캐릭터의 행적과 겹치는 점
- 十六夜와 不知夜 모두 문제아, 밀리언 크라운 세계선의 해당 인물 이름으로 쓰였다.
- 종종 허무함을 느끼고 자신의 관념에 부합하지 않는 일과 맞닥뜨리면 주저한다.
더 추정해 볼 수 있는 점
이자요이의 이름은 달이 정상 시각보다 늦게 뜬다는 어원처럼 태어나야 할 시기가 원래 시점에서 변동되었다는 사실을 내포하고 있는 것일까?
2. 쿠도 아스카(久遠 飛鳥)
성의 유래
불교 용어로 영원을 의미하는 '久遠[쿠온]'에서 유래. 나가노 현 가미미노치 군 이즈나마치의 정토진종 사찰 아미타사(阿弥陀寺)의 승려가 붙인 메이지 신성이다. 읽는 방법에 따라 쿠도 씨 외에도 히사토오 씨, 쿠온 씨 등으로 나뉘며(이 중 쿠도는 생소한 발음이다) 사이타마 현, 나가노 현에 약 10명씩 사용자가 분포해 있다.
이름 해설
한자 표기로는 중성적, 어감으로는 극도로 여성적인 느낌을 띤다. 이미 지역과 시대 등으로 알려져 일본인들에게 더없이 친숙한 단어로 자리하고 있다.
이름의 어원
아스카(飛鳥)의 유래는 아스카 시대 외에도 아스카 마을(明日香)의 다른 표기, 날아가는 새(飛ぶ鳥)의 축약형 혹은 겨울 철새 종류인 '이스카'의 변형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름이 갖는 의미
- 국경을 넘으며 살아가는 강인함을 가진 사람
- 세상을 누비며 활약하는 사람
- 사회에 공헌하며 살아가는 사람
- 일본인이라는 사실에 자긍심을 갖고 살아가는 사람(=애국심)
- 자손 복이 좋고 책임감이 강하며 노력가인 느긋한 사람
캐릭터의 행적과 겹치는 점
- 아스카가 나오는 장면에서 '국경을 넘고 세상을 누비며~' 등의 표현이 단골로 등장한다.
- 문제아 셋 중 책임감이 제일 강하고, 작가가 인정한 공식 노력가이다.
- 일본의 성지를 지키는 파수꾼 가문, 혹자는 일본 신군의 후예(아마테라스의 후손으로 추정됨).
더 추정해 볼 수 있는 점
쿠도 씨가 기존에 있었으니 아스카의 선조는 지구로 낙오된 뒤 쿠도 가문을 새롭게 만든 게 아니라 무언가를 이용해 작은 가문을 크게 불린 것은 아닐까?
3. 카스카베 요우(春日部 耀)
성의 유래
헤이안 시대의 문인 키노 하세오(紀 長谷雄, <타케토리모노가타리>를 편찬한 이 중 하나)를 선조로 둔 가문 중 하나. 카스카베 씨는 후대에 이르러 나라 현 나라 시 혼코모리쵸의 정치 표본지역 카스가노이자카와노미야(春日率川宮) 소속 양민을 일컫는 호칭을 본따 하나의 성으로 고착되었다. 다른 표기로 柏壁, 糟壁, 月下部가 있으며 가마쿠라 시대에 와서 사이타마 현의 지방에 동일한 지명이 붙었다(현재까지도 사용 중).
미에 현에 약 180명으로 타 지역에 비해 유독 많은 카스카베 씨가 집중되어 있으며 이들을 포함한 전국 인구 중 520명이 사용 중이다.
무사에서 양반, 관리까지 정계에 많은 인재가 분포해 있던 가문으로, 작품 주역 6명 중 제일 큰 파벌을 자랑하면서 유일하게 상징 문양이 있는 성씨이다. 다만 씨족은 중규모였으며, 헤이안 시대 4대 씨족(미나모토/다이라/후지와라/타치바나) 중 미나모토(源) 씨의 호위무사를 대대로 맡았다.
이름 해설
애초에 한자 자체가 잘 사용되지 않으며(오히려 중국계에서 자주 쓰는 자이다) [요우]로 읽는 방법은 더욱 생소하다. 쓰더라도 일반적으로 남자 이름으로 인식되고, 여자 이름으로 쓰일 때는 대개 앞뒤에 다른 한자가 붙는다. 팔자가 매우 안 좋은 네이밍이다.
이름의 어원
빛날 요(耀) 자는 사람, 불, 새의 날개와 참새의 형상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한자이다.
이름이 갖는 의미
- 찬란한 개성을 가진 사람
- 항상 빛나면서 매력이 넘치는 사람
- 밝은 미래를 살아가는 사람
캐릭터의 행적과 겹치는 점
- 주역들 중 제일 신분이 높다.
- 요우가 자주 사용하는 스킬은 불, 날개와 관련된 것이다.
- 다중능력 사용자임은 물론 취미활동, 가사, 전투 및 전략, 정치 등 다방면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 원래는 남캐.
더 추정해 볼 수 있는 점
- 억측이긴 하지만 성의 다른 표기들이 벽 벽(壁)자와 달 월(月)자를 사용하고 있는데 벽은 디스토피아, 달은 '이자요이' or 코우메이와 재회하기로 한 날의 달 모양이 변함'과 관계되는 것이라면?
- 요우의 이름 한자는 흔히 쓰이는 글자도 아니고, 구성에 '사람(이시)'과 '참새(金糸雀: 카나리아의 끝 글자)' 가 있다. 이시, 카나리아와 더불어 현재 이자요이를 유일하게 키미(君)로 부르는데 혹시 의도하고 지은 것?
- 코우메이만 이레귤러가 아니라 어쩌면 카스카베 가 자체에 예로부터 특별한 힘이 있었던 걸까?
4. 사이고 호무라(西郷 焔)
성의 유래
중소 규모의 무사 가문으로, 여러 가지 파벌이 있다.
- 히젠 사이고 씨: 구마모토 현 기쿠치 시 시치죠마치의 평야 지명에서 유래. 전국 시대부터 쓰임.
- 사쓰마 사이고 씨: 나가사키 현 운젠 시 미즈호마치의 지명을 바탕으로 가마쿠라 시대부터 쓰이다, 에도 시대 때 아이치 현 도요하시 시 이시마키하기히라쵸 인근, 치바 현 카모가와 시 히가시마치의 번청 '토죠(東条)번사', 도치기 현 시모츠가 군 미부마치의 번청 '시모츠케카미다(下野上田)'번사로 뻗어감.
- 후쿠오카 현 후쿠츠 시 서쪽 상단 지방에서 에도 시대에 만들어짐.
- 기후 현 기후 시 서쪽 지방 전역에서 오다 노부나가/도요토미 히데요시 정권 시대에 만들어짐.
- 후쿠시마 현 니시시라카와 군 니시고(사이고와 한자 동일)무라에서 유래. 에도 시대부터 쓰임.
- 후쿠시마 현 이와키 시 토키와니시고(이쪽도 사이고와 한자 동일)마치에서 유래. 에도 시대부터 쓰였으며 동일 지역에 분파 형성.
- 시즈오카 현 하마마츠 시 무라쿠시쵸 혹은 시즈오카 서부 번청의 옛 명칭에서 유래. 해당 지명은 가마쿠라 시대에서 일본 남북조 시대까지 사이고로 불림. 에도 시대에 시가 현 히코네 시 곤키쵸의 번청 '히코네 번사'로 세력 확장.
- 가고시마 현 키리시마 시 하야토마치에 있던 문인 '사이고 문'을 보고 서쪽 땅이라는 의미로 에도 시대에 만들어짐.
이중 제일 역사가 길고 보편적인 히젠 사이고 씨는 겐페이 전쟁 당시 미나모토-다이라 세력 사이를 오락가락했던 키쿠치(菊池)씨 직계이며 더 거슬러 올라가면 헤이안 시대 4대 가문으로 유명한 후지와라(藤原)씨의 북(北)가 계열이기도 하다.
사이고 씨는 도쿄와 시즈오카의 지역당 약 610명, 아이치 현의 약 549명을 포함해 전국에 5,430명 정도가 분포해 있다.
이름 해설
한자 표기로는 중성적, 어감으로는 극도로 남성적인 느낌을 띤다. 뜻과 음이 같은 炎이 더 보편적이기 때문에 인명이나 일상에서 잘 쓰이는 글자는 아니다. 주로 남자 이름으로 붙여진다.
이름의 어원
불꽃 염(焔) 자는 타오르는 불꽃과 구멍에 빠진 사람의 형상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한자. 불꽃뿐만 아니라 질투, 분노 등 격한 감정이나 욕망의 고조를 뜻하기도 한다.
이름이 갖는 의미
- 독립심 및 임기응변 능력이 강한 사람
- 가문을 책임지며 이끌어 가는 사람
캐릭터의 행적과 겹치는 점
- 형에 비해 임기응변에 능하다.
- 이자요이가 자신을 동생이 아닌 독립된 존재로서 인정해 주길 바란다.
- 확정된 것은 아니나 이자요이가 신이 된다면 호무라가 인류 및 사이고 가 후손들을 이끌어 갈 대표자가 되리라는 추측이 있다.
- 사실 작가의 원래 의도는 아지다카하 및 배화교와 관련된 인물임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위 해석과 행적들은 그다지 큰 관계가 없을 수도 있다.
더 추정해 볼 수 있는 점
호무라의 뜻 중에 격한 감정, 욕망의 고조가 있다면 언젠가 호무라가 이자요이 앞에서 그동안 쌓아왔던 설움을 폭발시키는 장면이 나오지 않을까?
5. 쿠도 아야토(久藤 彩鳥)
성의 유래
환생 전은 아스카와 동일. 환생 후 성인 쿠도(久藤)는 사이고 씨와 비슷하게 후지와라 씨의 분파이다. 다만 이쪽은 남(南)가 계열인 것이 차이점이다. 아스카 시대의 정치가 후지와라노 카마타리(藤原鎌足)가 텐지천황으로부터 하사받은 것이 시초. 같은 발음인 '工藤'씨와 이토(伊東)씨를 종족으로 두고 있다.
후쿠오카 현에서 약 312명, 히로시마 현에서 약 180명이 사용하며 전국적으로는 860명 가량이 사용한다.
동일한 표기의 다른 파벌은 에도 시대 후쿠오카 현 쿠루메 시 사사야마마치에 위치하고 있던 번청 '쿠루메 번사'에서 처음 발생했다.
이름 해설
해당 한자에 [아야토]라는 발음은 잘 붙지 않고 보통 [사토리] [이로하] 등으로 읽는다. 읽는 방법과는 상관없이 한자 자체는 고풍스러운 느낌을 강하게 준다.
이름의 어원
유래는 달리 없으며, 색채/칠하다(彩)와 새(鳥)로 단순히 어감이 좋은 두 한자를 붙여 지은 이름이다.
이름이 갖는 의미
- 미남미녀
- 음악이나 미술, 요리,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 특출난 사람
- 많은 이들을 매료시키는 사람
- 드넓은 세상을 무대로 자유로이 활약하는 사람
캐릭터의 행적과 겹치는 점
- 많은 이들의 시선을 끄는 작중 공인 미녀이다.
- 여왕기사 혹은 재벌 아가씨로서 음악, 미술, 요리 등을 숙달했다고 자찬한다.
- 가족들과 함께 세상을 누비는 것이 오랜 숙원이었다.
번외: 뜻밖의 사실
조사 중 알게 되었는데 카스카베(春日部) 역 근처에 20년 된 맛집 이로도리(彩鳥)가 있다고 한다. 문덕들이 좋아할 만한 곳....ㅋㅋ
6. 아야자토 스즈카(彩里 鈴華)
성의 유래
매우 희귀하여 유래와 사용인구조차 나오지 않는다. 그나마 한자를 [아이리], [이로리]등으로 읽어 여자 이름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존재하긴 한다.
이름 해설
주역들 중 가장 이름이 단순하고 흔하다. 표기와 발음 모두 완전한 여자 이름
이름의 어원
방울(鈴)과 꽃(華). 아야토와 동일하게 어감이 좋은 한자를 병렬한 것으로, 봄, 꽃과 나무, 소리, 색채라는 이미지를 가진다.
이름이 갖는 의미
- 솔직하며 순수한 미소를 띤 사람
- 꽃처럼 아름다운 사람
- 주위를 화목하게 만들고 다른 이들에게 사랑받는 사람
- 타인을 끌어들이는 매력을 가진 사람
캐릭터의 행적과 겹치는 점
- 잘 웃는다, 본질이 순수해 거짓말에 서툴다.
- 작품의 무드메이커로 친화력과 성적 모두 우수해 많은 사람들이 호평한다.
- 호무라처럼 이름의 의미대로 인생을 사는 것보다 니치카(二千華), 린(鈴)과의 혈연관계에 더 초점이 맞춰진 네이밍이기에 이름과 행적엔 별다른 연관성이 없을 수 있다.
더 추정해 볼 수 있는 점
한자 자체에서도 예상되지만, 스즈카라는 이름에 '봄(春)'이라는 이미지 또한 내포되어 있으니 정말 카스카베(春日部) 니치카(二千華) 혹은 요우와 관계가 있는 걸까?
총정리
- 이름 희귀도는 이자요이>호무라>요우>아야토>아스카>스즈카 순
- 성의 보편성은 호무라>아야토>요우>아스카>스즈카>이자요이 순
- 가문의 크기는 요우>호무라>아야토>아스카>스즈카, 이자요이(없음) 순
'문제아 시리즈 > 문제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제아 시리즈] 카스카베 가에 관한 의외의 사실 (0) | 2022.04.04 |
---|---|
[문제아 시리즈] 문덕이라면 흠칫한다는 네코미미 헤드폰을 조사해 보았다 (0) | 2022.04.04 |
[문제아 시리즈, 밀리언 크라운] 2019년 바이스 슈발츠 콜라보 관련 정보 (1) | 2022.04.04 |
댓글